29. 패트롤 달러 체제의 흔들림과 위안화의 급상, 중국주식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해외주식중, 중국주식에 대해서 알아볼 시간입니다.
해당 자료는 병원에 다닐 때, 직원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목적으로
2020년도를 기반으로 만들었었는데요.
中, 달러패권에 정면승부 나섰다…위안화 결제 강화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과 브라질이 14일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재무부간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자국 통화(중국 위안과 브라질 헤알)를 활용한 무역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www.newsis.com
최근 중국의 패트롤 달러 결제 소식에 힘입어,
한 번 더 공부해보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력=국력이기 때문에,
중국에 치이고, 미국에 치이고,
올해 처음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보고 있고,
경상수지 두달 연속 적자…2월 -5.2억달러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 2월 경상수지가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 부진에 따른 상품수지 적자가 5개월째 이어졌고, 해외...
www.yna.co.kr
가진 자본이 인력밖에 없는 한국에서는,
투자라도 잘해서 돈을 굴려야 한다,,이겁니다
여튼간에, 최근 패트롤 달러가 흔들리는 걸 보니
미국의 달러패권이 서서히 약해지는 것이 보이는데요,
2030년도까지, 중국이 미국의 파이를
상당부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다시 한 번 리뷰해보려 합니다.
교육내용은,, 위의 표지와 같이 세가지로 분류가 되는데요.
음,,간단하게 왜 공부해야할까? 이 부분만 집중해서
보기 쉽게 이해하자면
1. 전 세계 국가수보다 많은 포춘의 500대 대기업이 모두 진출해있고,
본토의 기업만 1400만개가 넘게 있습니다.
2. 1등주만 투자하면 안됩니다. 정부정책이 바뀌면
1등주도 꼴등이 되는,,공산주의 나라입니다 (EX..알리바바)
3. 공산주의에 맞게, 기업 배당 성향이 상당히 강합니다
4.모바일 가입자만 13억명으로 추산되며,
국영기업 민영화로, 정책리스크를 완화하는 중입니다.
위의 그림 중, 두번째 표는 일본, 중국, 미국의
시가총액을 그린 표인데요.
첫번째 그림만 봐도, 중국의 성장새가 대단하죠?
2023년 3월로 추산한
현재 중국 시가총액은 12,360,284달러로
2018년도에 비해선 살짝 후퇴했네요.
2020년 10월 말 기준이지만,
주목할 부분은 중국과, 미국의 지분율 차이입니다.
인정하기 싫지만,
표에서보 보듯이, 중국의 금융시장은
세계경제의 절반을 담당할 정도로
무섭게 커질 예정이기 때문에
중국주식 소비재에 투자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다음주에는,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해서
좀 더 합리적인 중국주식을 서치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