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저출산과 AI는 어떤 관계일까?
10년 전부터 예견했던
저출산 현상, 20년 뒤면 우리나라가
OECD국가중에 제일 초고령화 국가라고
미디어에서 난리가 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추세에 대해
살아남기 위해선 어떤 공부를 해야할까
유심히 인사이트들을 공부하고 있는데요.

누구나 고등학교 시절이라면 한 번쯤은 들었을 법한,
메가스터디 인강, 저 또한 고등학생 때 죽어라
PMP에 담아서 야자시간에
인강을 들었었는데, 이제는 다 추억이네요 ㅎㅎ

영상을 듣다 보면 많은 걸 느끼게 되는데,
인구감소와 AI로 인해
학력이 더이상 중요하지 않은 사회가 되며
사교육 열풍이 이제 점점
끝자락으로 치닿게 되고
다가오게 될 AI산업이 저출산으로 인해
줄어든 인구를 대체하게 될 것이란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광고대행업은 이런 바람을
더 심하게 느끼고 있는데요.
화이트칼라 직군의 재구성
[르포] AI가 영상찍고 편집, 자막도 삽입… 일자리 소멸 현실로
인공지능(AI) 기술이 일상으로 들어온 지금, 방송·미디어 산업도 AI 기술을 빠르게 도입한다. 올해로 31회를 맞은 ‘KOBA 2023(국제 ..
it.chosun.com
최근엔 미국의 광고 카피라이터가
"미드저니"AI를 이용한 광고카피가 성행하자
기업들이 일횟수를 줄였다는 인터뷰도
늘어나면서 화두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광고대행사의 업무들을 보면

넷플릭스 드라마인, 대행사를 보시면 이해가 편하실텐데요,
광고 메시지나 문구들을 제작하는데
50가지 문구들을 취합해서 회의시간에 제출하는데
기본 8시간이 걸린다고 치면,
AI는 단 10분이면, 카피라이터의
문구들을 뽑아낼 수 있으니
앞으로 광고기획의 업무들의 롤이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게 자명한 일이죠.
카피라이터까지…챗GPT발 고소득 전문직 실직 시작됐다 | 중앙일보
이 때문에 기계로는 대체가 힘들 거라 여겨졌던 고임금의 창조적 분야 일자리까지 최근 AI에 위협당하고 있다. 미국 백악관도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AI는 반복적이지 않은 작업을 자동
www.joongang.co.kr
전통적으로 화이트칼라로 분류되던 직군들이
AI산업이 정리된 후 재개편되고 나면
어떤 식으로 우리 삶에 다가올 지 걱정되는데,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일은, 5년 안이면
우리나라안에서 본격적으로 발휘될테니
앞으로의 추세가 궁금해집니다!
이러한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와,
4차산업의 도래는 고도성장시기에
압축된 성장으로 인해 부작용을
직격탄으로 맞은 2030세대에게
또 하나의 기회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알고리즘을 잘 활용하기 위해
어떤 인사이트를 가지고
미래의 JOB을 가지고 살 것인지에 대해선
많은 공부가 필요할 것 같네요.
개인적으론, AI가 대체할 수 없는
육체적인 노동 + AI를 다루는 기술들을
가진 사람들이 대세가 될 것이라 생각해서
장례지도사나, 가이드 같은 것들을
알아봤었고ㅡ,
최근에 가이드를 하게 되었는데요.
곧 회사를 그만두고, 섬 투어 가이드로도
활동하는 글들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