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기/알쓸신경

5. 내 삶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금융지능

dongry23 2022. 9. 25. 15:10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요번 주는 좋은 주말 보내셨나요?

저는 저번 주에, 자본주의 섹션에 대해서 강의했어요!

자료로 따지자면 2시간 분량인데, 천천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자본주의 섹션 표지 괜찮은가요?

 

강의를 시작하게 된 계기?

네, 저는 회사의 C&B 담당자였어요.

급여와 원천세 등을 신고하면서,

퇴직연금 등의 교육을 겸임하는

직군인데요.

떠먹여줘야하는,,그런 직업?

HR분야에선 M(매니징)과

D(개발)분야를 두루 겸임하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TMI인듯 ㅎㅎㅎ)

근데, 퇴직연금에 대해서 다들

무덤덤하시고, 잘 모르시는 부분도 계셔서

퇴직연금에 대해서 임직원분들이 좀 더

쉽게 다가오게끔 설명드리기 위해 강의자료를

만들게 되었었거든요!

(사실, 한분한분 설명하려니 힘들어ㅅ..)

여튼간에 저번 주 강의를 진행하면서, 그래도

여러가지 피드백이 와서 너무 좋았어요!

이번 강의 섹션에서 중요한 점은, 

EBS의 자본주의라는 책에서 영감을 많이

받았고, 참조했습니다!

네, 끊임없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

요번 강의의 핵심은,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알야아하는 경제기초금융을 다루고 있어요!

1.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

2. 주식투자로, 자산을 지켜야 하는 이유.

3.  우리나라가 주식에 관심이 없었던 이유

4. 미국주식과 한국주식의 차이점..등등인데요. 

알기 쉽게, 강의 자료를 요약 한번 해볼게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이유 첫번째, 브레튼우즈 협정의 파기

미국의 경제 대공황으로 34년도에 금본위 제도를 폐지한 이후,

43년도에 브레튼우즈협정이 체결되며 1온스에

35달러에 페깅(고정)이 되는데요.

위의 차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1971년도부터

무역 적자가 발생하며, 금 시세를 유지하기가 힘들어지자

브레튼우즈 협정 체제를 닉슨 대통령이 중지시켜 버립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달러를 찍어내기 시작하며

경제위기가 생길 떄마다, 버텨낼 체력이 생기게 된 것이죠.

쉽게 말하면 미국은 깡패입니다...내 말 안들으면 뒤지는 급이에요..

 이렇게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주변 국가에다 통화가치 절상의 압력을 주게 되며

고통은 전세계가 나눠받게 됩니다 )

이렇게 가치가 없는 달러를 무한정으로

미국에서 찍어낼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기축통화국인 달러의 가치는 없다, 라고 보는 겁니다!

요 부분만 이해하시면, 왜 s&p500이나

금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지에 대한

해답을 아실 수가 있을 것 같아요!

 

주식으로 자산을 지켜야 하는 이유도 동일!
내 삶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금융지식

주식을 하는 건 투자입니다. 투기가 아니라.

내 삶 전체를 지키기 위해 해야하는 일종의 지능같은 거에요.

미국에다 투자하는 이유는, 기축통화국가이기 떄문이고,

미국주식에 투자하면 헷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찍어내는

달러의 인플레이션을 흡수해내는 하나의

자산전략이 되는겁니다

매우 간단한 원리이지요!

 

우리나라가 주식에 관심이 없었던 이유

유대인식 교육이 필요하다

어릴 때, 제가 자라왔던 환경은

보수적인 편견이 있었습니다.

부모님께서도 돈에 대해서 경제적인 상황을

공유하는 것을 꺼리시기도 했고,

돈에 대한 교육도 받지 못헀어요.

그렇게,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중요한 시기에

금융교육이 부재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회초년생들은, 20대 후반이 되어서야

돈을 벌게되고, 경제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하지만 세상이 녹록치 않지요?

호락호락하지 않다구?

본격적으로 재테크를 하다보니,

단기적인 투자와 국내주식을 먼저

접선하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고,

경제는 선진국이지만, 증시는 후진국스런

한국의 주식에 학을 떼며 주식을

손에서 떼게 되지요 ㅎㅎㅎ

맞습니다. 교육의 부재로 이어지는 안타까움이죠.

이런 단타 투자를 지양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입니다.

 

미국주식과 한국주식의 비교

사회적인 책임부터 시작해, 자본시장법이 선진화되어있음.

그릇은 사기그릇인데,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관리를 잘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는, 현재 딱 그 상황입니다.

현재 자료는 2020년 자료지만, 점차 나아가고 있어요.

미국의 경우는, 자본시장이 만들어진 게

오래되어서 그런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대한 배제하고, 돈에 대해 정직한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한국같은 경우는 경우없는 물적분할로

기존 주주가 손해보는 상황이 허다하죠.

쉽게 말하면, 카카오라는 회사를 사면

현재 상장한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게임즈 세개다

카카오라는 모회사 안의 가치에 녹아있어야 하는데

기존 카카오 주주에겐 돌아오는 것도 없이

알짜배기 사업들을 따로 상장시키며 개미들의 돈을

흡수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한국주식 하지마입니다.

미국의 구글도, 카카오처럼 여러가지 사업을 하지만

여러가지 캐쉬카우 사업에서 이러한 행태를 벌이진 않죠.

자본시장법이 활성화되어 있어 소액주주 집단소송이

바로 들어오기 떄문에, 배상액이 천문학적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만약 상장할 떄가 되어도

지분율대로 인적분할로 먹습니다.

네..그런 것이죠..이제 카카오가 얼마나

나쁜놈들인지 이해가 가시나요?

 

다음번에는, 투자의 단계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지능을 갖추는 것이야말로, 자본주의 시장에서

기초체력을 쌓아 건강하게 사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은 현재 어떤 자본을 가지고 계신가요?

여러분에게, 인사이트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제가 강의헀던 내용들을 담아둡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