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기

6. 투자의 단계를 공부해보자.

dongry23 2022. 10. 2. 18:02

 

안녕하세요 여러분 좋은 주말 오후입니다!

여느때와 다르게, 오늘부터는 가을철

장마비가 예상되는 하루인데요.

개천절 연휴를 끼면서, 본격적인 비소식이

들린 이후에, 맑은 가을하늘이 펼쳐질 것 같네요 :)

장마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음. 오늘은 저번 주 주제에 이어서, 투자의 단계에 대해서

공부해보려 합니다!

 

저번 주에는 자본주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봤었죠?ㅎㅎㅎ

 

 

5. 내 삶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금융지능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요번 주는 좋은 주말 보내셨나요? 저는 저번 주에, 자본주의 섹션에 대해서 강의했어요! 자료로 따지자면 2시간 분량인데, 천천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강의를 시

dongry23.tistory.com

 

 

 

넹, 뭐 다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위험도에 따라서 투자의 단계를 나눠봤어요!

요즘같은 금리 인상기에는, 예금이 최고겠지만요(?) ㅎㅎㅎ

2020년도 중반, 하나은행 적금을 하기 위해 많이들 몰렸다

 

2020년도에는 제로금리에 수렴했기 때문에

위의 적금만 해도 사람들이 많이 몰렸었는데요,

실제로 2년동안 30만원씩 720만원 적금을 해도

실수령액이 8만원에 불가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별로 없던 것 같더라구요 :)

위 상품의 최대 30만원 2년 납입금의 실수령액 이자는 82,650원이다.

 

이처럼, 본래 생각했던 이자에 비해선 많이 받지 못하지만,

그래도, 돈을 조금씩 모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동일한 시기에 720만원을

이자 2%씩 주는 CMA(예금)통장에 줬다면 얼마일까요?

네, 1년에 14만 4천원,

2년이면 28만 8천원이 모입니다!

15.4% 이자 세금을 제외하면 24만 4천원이죠!

목돈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런 거죠.

음,,펀드나 주식은 그럼 예금과 적금 이후 해야하나요?


굳이 그런건 아닙니다, 시기에 맞게끔
자신의 인사이트와 방향에 따라가면 되는거겠죠?

항상 주식시장은 예측할 수 없는 시장이기 떄문에
자신의 인사이트에 맞게, 상황에 맞게
천천히 공부하며 투자해가는게 좋습니다.

물론 투자를 안해봤다면, 소액으로 추이를 지켜보면서
자산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공부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펀드와 ETF의 차이점은, 개인이 직접 매수하느냐
아니면 증권사를 통해서 매수하느냐의 차이인데
2022년 올해부턴, 거래세 매도시 수수료가 인하되었다


ETF보단 펀드가 아무래도 증권사를 끼고 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많이 들어갑니다!

현재의 고금리 시대에는, 당연히 2단계인 펀드나,

3단계인 주식 외 파생증권과 같은 상품도 

이자나 대출을 갚기 위해 자금이 빠지기 때문에

투자를 관망해야 하는 시기여서,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

 

 

여유자금이 있다면, CMA통장 OR 예금통장에 파킹해서, 쌈짓돈을 굴리세요!

 

네, 요즘 금리 5%대의 예금통장도 나오고 있고, CMA도 나오고 있는데요

예금과 CMA, 자산계획 반영에 고려해서 넣어봅시다!

예금의 경우, 자금계획에 맞게 돈이 묶여도 좋은지 확인을 해봐야하지만

CMA같은 경우, 하루를 맡겨도 이자를 주기 때문에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합리적인 상품을 선택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투자의 단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글을 써봤는데요, 기초적인 수준이니만큼

여러분들도 혹시 모르셨다면 한번 공부해보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